기억 공간의 이름
= 변수(variable)
변수를 선언 해야 기억 공간이 만들어 진다.
데이터를 저장할 메모리 공간의 이름(symbol)
변수는?
기억 공간
1. 크기
2.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가
자료형(DataType)
= 변수의 크기와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종류를 결정 하는 것
정수 -> int
실수 -> float
불 -> boolean
문자 -> char
a라는 기억공간에 정수를 넣고 싶다.
정수 자료형은 int a; => 변수 선언 4byte
int (자료형)
1. 크기 : 4byte (1byte=8bit, 4byte=32bit) 2의 5승
2. 종류 : 정수
DB저장, 파일, Excel, pdf, Networt
저장을 하려면 메모리에 저장을 할 수 있어야 함.
자료형(DataType)
정수 : short(2), int(4) long(8)
실수 : float(4), double(8)
문자: char(2)
불 : boolean(1)
컴파일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자료형(PDT) Primitive Type
책
회원
문자열
이라는 자료형은?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
객체를 만드는 도구가 클래스
일반적으로 선언을 하면 symbol table(변수 목록표)
변수 이름이 a,b
선언을 하게 되면
메모리 공간에 a, b 이렇게 기억 공간이 만들어 진다.
메모리는 번지로 되어 있음
100번지(a), 200번지(b)
symbol table에는 a번수는 100번지에 만들어져 있습니다.
symbol table에는 b번수는 200번지에 만들어져 있습니다.
이런 변수 목록표(Symbol table)
변수이름(key) | 번지(value) |
a | 100번지 |
b | 200번지 |
Memory
100번지(10) |
200번지(34.5) |
a=10; 할때 a는 변수 변수목록표에서 a를 찾아 100번지 메모리에서 찾아 10을 저장하는 것
b=34,5f; 할때 b는 변수 변수목록표에서 b를 찾아 200번지 메모리에서 찾아 34.5를 저장하는 것
만약 변수 이름에 이름이 없으면 can not find symbol
변수에 데이터를 집어 넣는 것을 할당, 대입
L-Value=R-Value;
R-value의 값을 L-Value에 집어 넣는 것.
변수(L-Value)=값, 변수, 수식, 메서드 호출 문(R-Value)
'JAVA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all by value, Call by reference (0) | 2022.01.27 |
---|---|
Java 구동 방식 (0) | 2022.01.26 |
쓰레드의 실행제어 메서드 (0) | 2021.12.06 |
데몬 쓰레드(daemon thread) (0) | 2021.12.06 |
싱글 쓰레드, 멀티 쓰레드 (0) | 2021.1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