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https://youtu.be/PN-qLhXdfnY 유튜버 정미나 님의 강의를 공부 할 겸 써봅니다. 테이블의 제약조건 - 제약조건 == 물리적인 제약을 의미 - 이런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이유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함 무결성이란? - 무결성을 보장한다는 것은 데이터의 일관성, 유효성, 정확성을 보장한다는 말 - 결함이 있는 데이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물리적으로 제약을 가하겠다 라는 의미 PK(primary key) - 기본키: 모델링 관점에서 하나의 테이블, 즉 엔티티에는 반드시 주식별자가 존재해야 한다. - 예를 들면 학생 테이블의 학번, 사원테이블의 사번, 회원 테이블의 아이디 같은 데이터들이 주식별자에 해당 - 변하지 않고 중복되지 않은 컬럼이 존재해야 한다 라는 의미 - 주식별자에 ..
DB

- 유튜브 https://youtu.be/NqmdfZbx8RE 를 참고해서 작성하였습니다. 데이터베이스 : 데이터들이 모여 있는 집합소(ex 방이 모여 집) 테이블: 데이터들이 무질서 상태로 위치해 있는게 아니라 테이블이라는 곳에 담겨 있다.(ex 방) 세로: 컬럼(column), 속성(attribute), header에 속함 가로: 로우(row), 튜플(tuple) 하나의 컬럼은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. 쉽게 이야기해서 게시판 만들 때 테이블을 만들었고, 이를 통해 테이블(릴레이션), 컬럼, 로우, 도메인에 대해 알 수 있다. 보기 쉽게 색으로 정리해놓았다. 초록색: 속성, 컬럼이다. 파란색: 로우, 튜플이다. 한 줄을 읽으면 고객의 모든 정보를 읽을 수 있다. 빨간색: 도메인이다. 테이블을 Create..